EAEU 유라시아경제연합: 러시아 외 4개국 EAC인증

EAEU 유라시아경제연합 로고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키르기스스탄 및 아르메니아로 제품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EAC인증과 마주하게 됩니다. EAC인증을 알기 위해서는 유라시아경제연합 EAEU – Eurasian Economic Union을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1. 유라시아경제연합(EAEU)이란?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Eurasian Economic Union)은 지역 경제 통합기구로, 2015년 『유라시아경제연합 조약』에 따라 공식 출범했습니다. 이 연합은 국제기구로서의 법적 지위를 보유하고 있으며, 회원국 간 경제 협력을 제도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을 모델로 하여 상품·서비스·자본·노동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단일 시장을 지향하고 있으며, 통일된 기술 규정 및 인증 시스템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단일 인증 시스템이 바로 EAC인증입니다.

EAEU가 ‘자유로운 이동’을 핵심 목표로 하는 4가지 요소:

  1. 1. 상품
  2. 2. 서비스
  3. 3. 자본
  4. 4. 노동력

유라시아경제연합 EAEU는 일반적이고 단순한 관세 동맹을 넘어, 회원국 경제의 전면적인 현대화산업 간 협력 강화,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과 국민 생활 수준 향상을 목표로 지향합니다.

즉, 단일시장 구축뿐 아니라 국가 간 상호 성장의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방점을 두고 있습니다.

EAEU(유라시아경제연합) 기본 정보
항목 내용
정식 명칭 유라시아경제연합 (Eurasian Economic Union, EAEU)
설립일 2015년 1월 1일
설립 근거 《유라시아경제연합 설립 조약》(2014.05.29 체결)
본부 러시아 모스크바 및 벨라루스 민스크 (기관별 상이)
공식 언어 러시아어
회원국 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
공동시장 영역 상품, 서비스, 자본, 노동력의 자유 이동
주요 목적 경제 현대화 및 산업 협력 강화
경쟁력 제고
회원국 국민의 삶의 질 향상

2. EAEU 회원국 구성

현재 유라시아경제연합의 정회원국은 다음 5개국입니다.

  • – 러시아
  • – 카자흐스탄
  • – 벨라루스
  • – 키르기스스탄
  • – 아르메니아

이들은 모두 과거 소비에트 연방에 속했던 국가들이며, 지정학적·경제적 이해관계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우즈베키스탄이 연합에서 옵저버 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2020년 12월에 옵저버 지위를 획득했고, 이는 우즈베키스탄이 EAEU의 경제 정책과 활동을 관찰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출처: EURASIAN ECONOMIC UNION

3. EAEU 회원국별 2024년 경제 현황

유라시아경제연합은 러시아를 중심으로 한 지역 경제 통합체로, 회원국 간 자유로운 경제 활동과 공동 시장을 구축하기 위한 국제기구입니다. 아래 표는 EAEU를 구성하는 5개 회원국의 수도, 인구, 명목 GDP, 1인당 GDP, 주요 산업 등 2024년 기준 경제지표를 정리한 것으로, 국가별 경제 규모와 산업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데 유용한 정보입니다.

EAEU 회원국별 경제지표 비교 (2024년 기준)
국가명 수도 인구 (백만 명) 명목 GDP (억 USD) 1인당 GDP (USD) 주요 산업
러시아 모스크바 144.5 1,900 13,200 에너지, 군수, 금속, IT, 원자력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19.9 260 13,100 석유·가스, 광물, 화학, 농업
벨라루스 민스크 9.2 70 7,600 기계공업, 화학, 전자, 농식품
아르메니아 예레반 2.8 22 7,800 정보통신, 관광, 농업, 와인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6.9 13 1,900 섬유, 금광, 농업, 해외송금

4. 유라시아경제연합(EAEU)의 조직 구조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조직 구조

유라시아경제최고이사회 The Supreme Eurasian Economic Council

EAEU의 최고 의사결정기관으로, 각국의 대통령 등 회원국 정상들로 구성됩니다. 연합의 전략적 방향 설정 및 주요 정책을 승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Highest Authority

정부간 이사회 The Intergovernmental Council

회원국의 총리 등 정부 수반으로 구성되며, EAEU 내 주요 경제 정책의 실행과 조정을 담당합니다. 실질적인 행정적 협의와 실무 논의가 이루어지는 핵심 기구입니다.

Executive Body

유라시아경제위원회 Eurasian Economic Commission (EEC)

연합의 상설 초국가적 규제기관으로, 위원회 및 집행이사회에서 임명된 위원들로 구성됩니다.

  • 회원국 간 단일 시장 조성 및 규제 환경 구축
  • 경제통합 관련 정책 제안 및 이행 지원
  • 각종 공동 규정의 제정 및 감독
Regulatory Body

유라시아경제연합 법원 The Court of the Eurasian Economic Union

EAEU의 사법기관으로, 조약 및 연합 규정의 통일된 적용을 보장합니다. 회원국과 EAEU 기구들이 합의된 법적 틀 내에서 활동하도록 감독하며, 법적 분쟁에 대한 판결을 내립니다.

Judicial Body

※ 본 내용은 EAEU 공식 웹사이트 및 관련 문서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로 앞으로 다룰 EAC인증의 기술규정을 검토하고 규제하고 제정하는 곳이 바로 유라시아경제위원회 (EEC, Eurasian Economic Commission) 입니다. 한 마디로 EEC는 EAEU의 Regulatory Body인 규제기관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유라시아경제연합의 공식 홈페이지를 방문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는 연합에 대한 소개와 회원국별 현황 등 보다 더 다양한 정보를 다루고 있으며, 정보포털로 연결도 가능합니다. 아쉽게도 영문으로 홈페이지를 둘러볼 경우, 일부 기능과 정보가 제공되지 않으니, 전체 내용을 보고 싶은 분들은 번역기를 활용하여 살펴 보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https://www.eaeunion.org/?lang=en#about-info

business_card
※모바일에서 전화번호를 누르면, 전화 연결이 됩니다.
위로 스크롤